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베트남 비자 종류 및 E-VISA 발급 방법, 목바이 비자런

by 여행살자 2023. 4. 3.
반응형

대한민국 여권으로는 베트남에 무비자로 15일 체류가 가능합니다. 비자가 없는 경우 15일 이내 출국하는 비행기표가 있어야 입국을 할 수 있습니다. 비자 종류와 발급 방법, 그리고 비자런을 통해 연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베트남 비자 종류, E-VISA 30일, 목바이 비자런

베트남 비자 종류

관광비자 

90일 비자로 알려진 관광비자는 현재 없고, 30일 E-VISA만 가능합니다. 

상용비자

기업 업무 관련 초청장으로 발급하는 90일짜리 비자입니다. 많은 비자 대행사들이 진행하는 비자입니다.

투자비자

베트남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에게 발급하는 비자 입니다. 투자 금액에 따라 기간이 다릅니다.

학생비자

인턴 또는 학생들에게 발급 하는 비자로, 최대 1년, 연장 가능합니다.

노동비자

워크 퍼밋 같은 개념으로, 베트남 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에게 발급하는 비자입니다. 최대 2년, 연장 가능합니다.

가족비자

투자비자, 학생비자, 노동비자를 받은 외국인의 가족(부모, 배우자, 18세 이하 자녀)에게 발급하는 비자입니다. 

 

이 외에도 변호사 비자, 외교비자, 기자비자 등 그 목적에 맞게 비자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E-VISA 발급 방법

 E-VISA는 인터넷으로 쉽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비용은 25불이며,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1. 베트남 E-VISA 발급 홈페이지 접속

2. 4cm*6cm 사이즈 여권용 사진 업로드

3. Application form 작성 후 신용카드 결제

4. 이메일로 전자비자 수령

5. 비자 인쇄 후, 입국 심사 시 제출

 

E-VISA는 현지에서 연장이 불가능하며, 가까운 캄보디아 등으로 출국 후 재입국을 해야 연장이 가능합니다.

목바이 비자런

 현재, 장기체류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방법이 바로 비자런입니다. 호치민에서 약 2시간 정도거리에 있는 목바이 국경에서 캄보디아로 출국하여, 캄보디아에서 베트남으로 재입국하면서 새로운 비자를 발급받는 것입니다. 현지에서 연장이 불가능하고, 30일 이내 재입국을 제한하는 규정이 없어지면서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호치민에 차량을 준비하고 E-VISA 신청을 대행해 주는 한인 비자 대행사가 많아 접근하기가 쉽습니다. 

도착비자

 도착비자는 대사관에서 비자를 받지 않고, 도착 후에 비자를 받는 것을 말합니다. 불필요하게 대사관을 오고갈 필요가 없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 장점입니다. 도착 비자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정부 발행 초청장이 필요합니다. 

 

1. 정부에서 발행한 초청장 준비

2. 초청장은 반드시 도착 비자용  (대사관용 초청장은 도착비자 불가)

3. 현재 관광비자 도착비자는 발급 중단

쉽지 않은 베트남 비자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투자 목적으로 베트남으로 진출을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불법체류도 많이 증가하게 되었는데, 비자기간을 초과하여 불법 체류 시 차후 입국에 페널티를 받습니다. 그러면서, 비자를 갱신해 주는 전문 대행사가 생겨났습니다. 이전에는 비자대행사에서 서류를 만들어서, 투자비자, 상용비자들을 쉽게 만들 수 있었지만 현재는 매우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기업에서 정상적인 방법으로 초청장을 만들기도 쉽지 않게 변해버렸습니다.

 합법적인 장기체류 비자가 없는 경우에 은행 사용도 쉽지 않습니다. 이전에는 관광비자로 입국하여, 베트남 시중은행에 예금상품을 가입하여 투자를 하는 경우가 유행이었습니다. 당시 베트남 시중은행의 이자율은 7~8% 이었고, 한국은 1~2% 수준으로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또한, 베트남은 이자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납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투자 방법이 성행했었습니다.  

E-VISA 90일 추진 - 비자 정책 완화 장, 단점

 최근 E-VISA를 90일 까지 확대하는 정책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베트남 정부에서 비자 정책을 완화하려는 목적은 외국인 관광객 및 투자 유치에 있습니다. 불법체류를 줄이고, 합법적으로 활동하는 외국인에게 혜택을 주고 세금을 더 걷겠다는 의지도 보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론 범죄자 및 불법 사업을 운영하는 외국인의 유입이 많아질 우려가 있습니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로 치안이 좋다고 자부할 수 있는 나라입니다. 호치민을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 범죄도시 2가 폭력적이고, 불안정한 치안 장면이 포함된 탓에 상영이 금지되었습니다. 베트남의 치안이 지금 처럼 잘 유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댓글